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도 인종, 언어, 전통 및 관습 정리

by 긍정의힘 하쿠나마타타 2024. 1. 9.
반응형

인도 인종, 언어, 전통 및 관습 정리

인도 인종
현재 인종은 코카사이드, 오스트랄로이드, 몽골로이드 등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코카소이드는 인도의 아리안 언어를 사용하는 아리안족 계통의 종족으로 북인도를 중심으로 인도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랄로이드는 현재 남인도 인구의 주류가 되고 있는 드라비다족 인종으로 드라비다계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몽골로이드는 현재 아삼, 치타곤 및 미얀마 국경지대(동북 7주 중심)에 거주하고 있으며 티베트계 몽골로이드는 식킴과 부탄에 주로 거주하고 있습니다. 인도 인종의 순수한 혈통은 오늘날 거의 볼 수 없으며 대부분의 인도인은 그들의 다양한 혼혈인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도 언어
다양한 인종과 함께 1,599개 언어가 있으며 122개 언어가 사용 인구 10,000명이 넘는 주요 사용 언어로 인정되고 있으며 헌법에서 인정된 공용어만 22개 언어입니다.

힌디어는 전국적인 공용어이며 영어는 22개 공용어에 해당하지 않지만 의회, 행정, 사법, 사회 각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공용어로 학력이 높은 집단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도 전통 관습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힌두문화는 수세기에 걸친 무굴제국 및 대영제국의 통치에도 불구하고 외래문화를 흡수하면서 다양성을 포용하는 가운데 단일성을 유지하는 독특한 전통을 가져왔습니다.

출생과 관련된 인도의 전통 및 관습은 어린아이에게 꿀과 기(ghee일종의 버터)를 먹이고 장수와 부, 지혜를 기원하는 주문인 만트라를 외우며 명명하는 양식은 출생 후 11일째에 이루어집니다.

결혼 관련 관습은1995년 제정된 힌두결혼법은 근친혼을 금지하고 있습니다(부계 5세대, 모계 3세대). 신랑이 신부의 오른손을 잡고 성화 주위를 오른쪽으로 7번 돌면서 부부로 인정받는 의식을 치르고 신부 측이 신랑 측에 지급하는 결혼지참금제도(다우리)나 점성술에 따른 궁합을 따르는 관습이 아직도 성행하고 있습니다.

신랑 측에서 신부 측의 결혼 지참금이 부족하다고 신부를 학대하거나 심지어 죽이는 극단적인 사례가 언론에 보도되는 경우가 있고, 결혼 후에도 시댁의 거듭된 지참금 요구나 학대에 저항해 법정 소송을 제기하는 여성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장례 관련된 관습은 큰아들이 장례를 주관하고 10일간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기름과 물을 바칩니다.
 
합리적인 소비자들의 똑똑한 생활습관

COUPANG

쿠팡에서 추천합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